전례 없는 ‘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으로 인해 일상의 삶이 위협받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한 달이 채 남지 않은 ‘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그동안 주춤하던 각 당 후보들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4월 15일에 실시되는 ‘21대 국회의원 선거’는,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의 도입으로 현행 소선거구제가 가지고 있는 비례성의 부족을 개선하고 18세로 선거권이 확대된 개정 선거법이 적용되는 달라진 선거라서, 다른 때보다도 준비와 안내의 시간이 필요하기도 하다. 그러나 ‘전염병 확산’의 재난 상황에서 그러한 점들이 제대로 충족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정책이나 의제에 관한 국민의 이해와 관심이 부족해서 ‘민주주의의 꽃’인 선거가 제대로 결실을 볼지 염려되는 상황이다.
상황이 이러할진대, ‘민의의 대변자’가 되고자 하는 후보들이라면 당연히 그 어느 때보다도 지역민의 요구가 무엇인지 민의를 파악해서 의제를 공유하고 정책을 제시하여 그 민의를 제대로 반영하는 노력을 해야 마땅하나 우리가 듣고 보는 눈앞의 현실은 그것과는 거리가 멀다.
재난 관련 문자 메시지 사이로 간간이 날아든 예비등록후보자들의 메시지는 그런 ‘의제’와 ‘정책’의 준비라기보다는 소속당의 후보 공천과 관련한 ‘억울함’, ‘해명’, ‘부당함’이 주를 이룬다. ‘잡음’ 속에서 공천 결정 이후 이어지는 소속당 ‘지방의원’의 동조 탈당, 또는 다른 의원들의 공천된 후보에 대한 ‘지지 표명’ 등(관련 기사: 2면)은 각자의 ‘의사의 표명’이고 ‘운동’이겠지만 “과연 ‘민’을 주인으로 대접하고 있는가?” 하는 물음을 남긴다.
언론도, 시민단체도 그 물음의 화살을 피해 갈 수 없다. ‘총선 의제 실종, 현실 반영인가 언론의 게으름인가?’라는 제목의 ‘미디어 오늘’의 2월 22일 자 신문 모니터 기사는 이러한 언론의 현실태를 고발하고 있다.
2월 5일부터 7일까지 3일간 6개 중앙일간지의 총선 관련 기사를 모니터하여 분석한 기사인데, 총 110건의 기사 중 신문 대부분이 ‘정당 동향’만 보도(77.3%)하고 ‘총선 공약’ 보도는 4건(3.6%)에 그쳤다는 내용이다. 우리 ‘한들신문’도 ‘정책 보도’에 힘썼나 하고 돌아보니 부끄럽다.
민주주의는 ‘공론’의 정치가 틀이다. 공론의 장에서 치러져야 할 선거가 ‘공론’의 토대 위에 서지 않으면 ‘민주주의의 꽃’이라는 선거는 피울 수 없는 ‘조화’에 불과할 것이다.
80년대, 군사독재의 엄혹한 시절에 양심적 언론인으로서 살았던 ‘대기자’ 김중배 선생은 “‘민’은 ‘졸’인가”라는 물음으로 ‘폭력’의 ‘어둠’을 걷어 내는 ‘새벽’의 ‘민초’를 희망했다. 그동안 그 ‘폭력’의 어둠은 걷어 냈지만, 우리에게 여전히 ‘어둠’이 남아 있다. 오늘 그 ‘어둠’은 ‘무지’이다.
오늘 다시금 반문한다, “‘민’은 ‘졸’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