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가 거창에 남긴 상처, 거창 양민학살사건
상태바
6·25가 거창에 남긴 상처, 거창 양민학살사건
  • 박재영 기자
  • 승인 2020.06.2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배상보다 실체 규명, 공감대 형성이 먼저
거창군은 관심 없고 유족회는 여력 없어

1950625일 새벽 4시에 일어난 6·25 전쟁이 70주년을 맞았다. 1953727일 정전 협정 체결까지 이 전쟁으로 한국군과 유엔군 178,000여 명이 전사하고 민간인 244,000여 명이 사망했다. 행방불명된 민간인도 30만 명에 달한다. 이 수치는 지금까지 정리된 것으로, 실제 피해는 이보다 훨씬 컸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렇게 큰 피해를 남긴 6·25 전쟁은 더욱더 아픈 상처를 남겼다. 거창 양민학살사건과 같이 민간인이 국가 권력에 의해 적법한 절차 없이 희생된 사건이 그것이다.

거창 양민학살사건은 6·25 전쟁 중인 19512, 국군 11사단이 신원면에 거주하는 민간인 719명을 집단 학살한 사건이다. 당시 국군 11사단 9연대 군인들은 빨치산 토벌을 책임지고 있었는데, 이들을 토벌하기 위해 출몰 지역 인근 주민을 모조리 적국 국민으로 취급하고 학살했다. 거창 양민학살사건뿐만 아니라 전국의 많은 지역에서 민간인이 학살됐는데, 이렇게 학살당한 민간인이 128,000여 명에 달한다는 통계가 있다.

김영삼 정부가 들어선 이후인 1996, ‘거창사건 등 관련자의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 조치법이 제정되어 위령 사업을 벌이고 있다. 이 법에 따라 거창사건 추모공원도 설립됐다. 하지만, 1951년 군사재판과 1960년 국회 조사, 특별법 제정에도 불구하고 유족이 원하는 정부 차원의 공식적인 진상 조사나 배상·보상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특히, 아직까지 거창군에서는 위령 사업 이외에 거창 양민학살사건을 재조명하고 자료를 모으는 어떠한 활동도 해오지 않고 있다. 최근 들어 6·25 전쟁 전후에 자행된 민간인 학살사건의 실체가 무엇인지 재조명해야 한다는 요구(관련 기사 : 8, 9)가 빗발치고 있지만, 전혀 관심을 두지 않고 있다.

거창사건 유족회도 배상과 보상에만 집중하고 있는 데다 활동할 사람이 없어 사실상 실체 규명과 공감대 형성에는 손 놓고 있을 수밖에 없다.

지난 행정사무 감사에서도 이 같은 문제가 지적됐다. 19일 열린 거창사건 사업소 행정사무 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소속 권순모 거창군의회 의원은 제주 4·3 사건과 광주 5·18 민주화운동 등은 기념사업회에서 홍보하고 관심을 끌어모으는데, 거창 양민학살사건은 국민적 공감대 형성이 부족한 것 같다.”라며 국회에서도 깊이 있게 볼 수 있는 홍보 활동이나 공감대 형성 활동이 중요하다. 사람을 통해 과거를 볼 수 있도록 역사 자료를 남기는 기록 보관(아카이빙)에도 관심을 써달라라고 당부했다.

미래통합당 이재운 거창군의회 의원도 유족회가 나서서 할 게 아니라 거창군민이나 산청, 함양 군민들이 함께할 수 있도록 거창군이 도와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