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양서 흉기 난동…주민 3명 다쳐
상태바
웅양서 흉기 난동…주민 3명 다쳐
  • 박재영 기자
  • 승인 2022.07.18 15: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0명 남짓한 주민들이 삼삼오오 모여 사는 웅양면의 작은 마을에서 한 노인이 흉기를 휘둘러 주민 세 명이 다치는 사건이 발생했다. 해당 사건의 피의자는 현장에서 붙잡혔다.

80대 노인이 흉기 휘둘러
  경찰과 목격자 등에 따르면 지난 6월 23일 오전 11시 30분쯤, 웅양면의 작은 마을 노인정에서 흉기 난동 사건이 발생했다. 마을 주민인 피의자 ㄱ씨가 같은 마을 주민 세 명에게 흉기를 휘두른 것.
  복수의 목격자에 따르면, 사건 발생 직전 피의자 ㄱ씨가 노인정으로 전화를 해 같은 마을 주민인 ㄴ씨를 바꾸라고 했다. 하지만 ㄴ씨가 전화를 받길 거부하자 ㄷ씨는 전화를 끊었고, 다시 걸려오는 전화도 받지 않았다.
  이에 격분한 ㄱ씨가 직접 찾아와 ‘조금 전에 전화를 받은 게 누구냐?’며 큰소리를 냈고 이를 말리는 다른 노인 ㄹ씨의 목에 흉기를 들이댔고, 그대로 그었다. 그 모습을 본 90대 노인이 고함을 지르자 ㄱ씨는 해당 노인에게도 흉기를 휘둘러 다치게 했다.
  당시 마을 주민 10여 명은 노인정에서 함께 국수를 먹으면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으나 ㄱ씨가 흉기를 휘두르자 혼비백산 도망치며 난장판이 됐다. 목격자인 ㄹ씨는 “다리 수술한 노인도 부리나케 도망갔고, 대부분 신발도 안 신고 그랬다.”라며 당시의 상황을 설명했다.
  ㄱ씨의 난동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ㄱ씨는 주민들의 다급한 상황을 듣고 현장에 온 마을 이장을 노인정에서 마을 앞다리까지 쫓아가며 쇠갈퀴를 휘둘러 다치게 한 뒤 흉기로 목 부분을 공격했다.
  그러다 마을 이장의 신고로 현장에 온 경찰에 의해 ㄱ씨는 바로 체포됐다.

주민들은 아직도 ‘벌벌’ 떨어
  그나마 다행인 것은 흉기가 날카롭지 않아 이번 사건으로 인해 다친 주민 세 명 모두 큰 부상을 입지는 않았다.
  하지만 주민들은 하루하루 걱정 속에 살고 있다. 목격자인 ㄹ씨는 “주머니에서 칼을 꺼내더니 목에 들이대는데 얼마나 놀랐겠나?”라며 “(일주일이나 지났는데) 아직도 그때 생각만 하면 손이 벌벌 떨린다. 어제 장에 내려가서 병원에 가 약을 타와 먹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특히 혼자 사는 노인들이 모두 벌벌 떨고 있다. 잡혔다고 독이 올랐지 않았겠나? 안 나오기를 바라는데 큰일 났다.”라고 말했다.
  특히, 해당 마을에 거주하는 40여 명의 주민 중 65세 이상 노인만 30여 명인 만큼 걱정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피해 주민 지원 장치 필요’
  웅양면사무소는 이 같은 피해 사실을 확인하고 거창군보건소에 주민들을 위한 심리치료 등 피해 회복을 위한 지원을 요청했다.
  보건소는 담당 공무원과 웅양면사무소 공무원 등 현장 확인 및 주민과의 간담회를 통해 심리치료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 12일부터 5회기로 상담과 개별 심리치료, 웃음치료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5회기 지원을 마치고 다시 상담을 거쳐 연장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하지만 이 같은 조치는 사건 발생 20일이나 지난 7월 12일부터 진행됐다.
  범죄피해자지원센터도 마찬가지다. 법무부 소속인 범죄피해자지원센터는 형사사건으로 확인된 사건의 피해자들을 위해 심리 지원, 법률 지원 등을 해줄 수 있다.
  하지만,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피해자들이 대구 등 도시의 심리 상담기관을 방문해 치료를 받고 치료비를 요청해야 지원받을 수 있다. 이번 사건처럼 노인들이 피해자일 경우 지원받기가 사실상 어렵다.
  또, 심의위원회를 거쳐 피해자에게 적합한 지원 서비스를 선별·지원하는데, 그러다 보니 피해자에게 지원하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린다.
  가장 빠른 곳은 경찰서였다. 사건 발생 초기 거창경찰서는 경상남도경찰청에 심리 회복 지원을 요청, 심리 지원 업무를 진행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마저도 2주일 정도 지난 시점이었다.
  이처럼 거창군에는 자체적인 사건 피해자에 대한 심리지원 서비스가 없는 데다, 다른 기관은 제도적 장치는 마련되어 있지만,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절차가 까다롭다. 현장에서 사건을 지켜본 주민들의 불안을 빠르게 해소시키기 위해 절차가 간소화된 서비스가 필요한 이유다.
  거창에서 심리 상담 활동을 하는 ㅁ씨는 “심리치료를 서두르지 않으면 우울증 등의 정신문제로 발전할 수 있다.”라며 “(범죄) 사실 확인 직후부터 피해 주민들의 심리상태를 점검하고 상담을 해줄 수 있도록 민간 기관과 협약을 맺거나 보건소 내 심리 상담 인력을 최대한 활용하는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